본문 바로가기

삼밀

밀교의 "삼밀유가법" 이란 무엇일까? 삼밀과 포자법=삼밀관행법(三密觀行法) 삼밀이란 무엇인가 1 프롤로그 우리나라에 알려진 고전적인 밀교의 수행법은 삼밀작용, 또는 삼밀가지, 그리고 같은 말로 삼밀상응이라 한다.고전적인 밀교에선 인생과 우주의 참모습을 육대(지수화풍공식)와 사만 실상(모든 실상은 네가지의 만다라에 포섭된다는 이론)으로 파악한다.6대(體)와 사만(相)에 대한 작용을 설명함과 동시에, 중생으로 하여금 6대로 구성된 동체(同體)와 사만의 세계를 깨닫고 체득하도록 하기 위해 실천수행의 방편으로 삼밀작용(用)을 교설하고 있다. 2 삼밀가지의 의미 불교에서는 인간의 의지 작용을 업이라 하고, 그에 대한 객체적 반응을 과보라 하여, 업과 과보 사이에는 직접적 인과 관계가 성립한다고 본다. 이 인과율에 따라 모든 세계와 현상이 존재하며, .. 더보기
"밀교미술" 이란 무엇일까? 두산백과밀교미술[ 密敎美術 ] 밀교의 교리를 표현하는 회화·조각 등의 조형미술.대체로 제존(諸尊)의 조상(彫像)·화상(畵像) 또는 만다라나 백묘도상(白描圖像)이 주가 되고 그밖에 공예로는 밀교의 수법(修法)에 사용되는 법구(法具)가 있다. 밀교는 7세기에 대승불교의 화엄(華嚴)·중관파(中觀派)·유가행파(瑜伽行派:유식학파) 사상 등을 기축으로 하여 인도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하였다. 밀교란 비밀불교의 약칭으로서 일반불교를 현교라 하는 것에 대한 대칭어이다. 밀교의 수행법은 신(身)·구(口)·의(意)의 삼밀유가(三密瑜伽)의 행법을 실천하는 것으로, 단(壇)을 쌓고 의궤(儀軌)에 따라 그 위에 본존 이하 제존의 상(像)을 그려서 수행하는 것을 상례로 하였다. 이러한 수법(修法)이 밀교와 조형미술의 결합을 불가결.. 더보기